당신의 니즈와 우리의 아이디어가
독창적인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01
설계의뢰
만들고자하는 건물의 용도와
그 건물에서의 담고자 하는 이야기
그리고, 적정한 예산계획이면 충분합니다.
그 다음은 저희가 고민하겠습니다.
02
컨셉, 아이디어
대지조건과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가지 아이디어 도출과 대안검토를 통해, 최적의 설계방향을 제시합니다.
설계과정에서 건축주님과 충분한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대안을 발전시켜 나갑니다.
03
디자인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가장 경제적일 수도
가장 하이테크적일 수도
가장 친환경적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생활하게 될 건축주님의
행복한 삶 그 자체일 것입니다.
그 삶을 담을 아름답고 효율적인 건물을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ABOUT
양재석 C.E.O | Registered Architect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공법전공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도시설계전공
'03-'06 (주)GNI종합건축사사무소(구.건원국제건축)
'06-'15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5- 림건축사사무소 개소
- 대한건축사협회 정회원
- 한국건축가협회 정회원
- 빌딩스마트협회 정회원
- 녹색건축인증전문가 (G-SEED ID)
- 한옥설계전문인력양성과정 수료(국토교통부)
- 친환경건축설계전문인력양성과정 수료(국토교통부)
- 그린리모델링과정 수료(국토교통부)
송순종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Chief
Registered Architect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03-'04 (주)관건축사사무소
'04-'08 (주)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08-'16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17- 림건축사사무소
정윤석 B.I.M TECHNICAL DESIGNER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 Design. U.K.
'14-'17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17-'18 (주)연우테크놀러지 | BIM Manager
'19- 림건축사사무소
김상수 ARCHITECTURAL DESIGNER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14 홍익대학교 생태도시연구실
'16-'17 라인건설
'18- '21 건축사사무소안
'21- 림건축사사무소
이준승 ARCHITECTURAL DESIGNER
동의대학교 건축학과
'16-'19 동의대학교 주거 및 단지계획 연구실
'19- 림건축사사무소
- '15 국제건축도시디지털사진전 입선
- '18 부산건축대전 입선
- '18 농촌건축대전 입선
김희재 ARCHITECTURAL DESIGNER
계원예술대학교 건축인테리어학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건축설계전공
'21- 림건축사사무소
- '17 차세대문화공간공모전 입상
- '18 안양건축문화제 건축문화상 입상

ABOUT "LEEM"
림건축사사무소는 사람을 위한 생태환경연구소(Lab. of Ecological Environment for Mankind)라는 모토로 2015년 개소한 아주 젊은 회사입니다.
기성 건축의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새로움"에 대해 늘 연구하며, 건축을 통해 삶을 보다 풍요롭고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leem"은 네덜란드어로 흙을 의미하며 가장 근본적인 건축의 소재가 흙인 것처럼, 건축의 원형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갖고 보다 나은 건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우리말 "림"은 '~리다'의 명사형 어미로서 어떤 일을 할 "의향"이나 "의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의미를 지녔습니다. 앞의 어두에 따라 그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의미의 그릇(집)입니다.
이에, [그+림]전시회, [울+림]음악회 등 타 예술분야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새로운 실험적 건축의 가능성을 찾는 작업을 지향하고 있으며, 젊은 작가 육성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TECHNOLOGY
지속적인 건축기술의 발전에 발 맞추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툴인 아키캐드(Graphisoft Archicad) 및 레빗(Autodesk Revit)을 도입하여 궁극적인 3차원 설계를 수행하고 있어, 설계의 오차를 줄이고, 추후 시공상 발생할 수 있는 설계변경 등 현장 대응의 체계적인 솔루션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주와의 원활한 의사전달을 위하여, 보다 직관적인 공간프리젠테이션 방법으로 VR (Virtual Reality) 기술을 도입하여,
미리 공간을 체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